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성규 차장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Q1. 김 차장, 궁금한 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. 일단 북한이 평양에 왔다고 주장하는 남한 무인기, 누가 보낸 겁니까? 아니, 실제로 평양에 나타난 게 맞긴 한 거에요? <br><br>A. 가능성은 크게 3가지입니다. 북한의 자작극이거나, 우리 군이 보냈을 가능성, 그리고 우리 군이 아닌 남측 민간단체 등이 보냈을 가능성입니다.<br> <br>어제 국정감사 현장에서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"북한 내부에서 할 수도 있다"는 발언도 했는데, 북한 자작극 가능성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.<br> <br>하지만 사진이 조작됐다는 증거가 아직은 없고 실제 평양에서 전단지를 봤다는 북한 내부의 증언도 나오고 있어서 아주 없는 얘기를 지어낸 것은 아니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.<br> <br>Q2. 실제로 남한에서 갔다면, 누가 보낸 거에요 그럼? <br><br>A. 우리 군이나 민간단체의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, <br><br>실제 이번 국군의 날에 군이 공개한 무인기를 보면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윤곽이 비슷해보이는 기종들이 있긴 합니다. <br><br>하지만 고정형 날개를 가진 무인기들의 외형이 서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어서 우리 군이 운용하는 것이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.<br> <br>저희가 군사무기 전문가들이나 대북전단지 단체 관련자의 말을 들어봤는데요, 민간 무인기 기술도 많이 발전해서 수천만 원 정도만 들이면 전단지를 싣고도 평양까지 도달할 수 있는 무인기를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평가가 많았습니다.<br><br>Q3. 이번 무인기가 대체 어디까지 갔길래 북한이 '중대한 정치적도발'이라면서 격앙된 반응을 보이는 건가요? <br><br>A. 일단 지도를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><br>남한에서 휴전선과 가장 가까운 파주 임진각에서 평양의 거리는 직선으로도 150km 정도인데요, <br><br>40~50km 정도인 서울보다 훨씬 더 깊숙한 곳에 있습니다.<br><br>그리고 공개한 사진,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 상공이라고 밝혔는데요. <br><br>평양의 상징인 김일성 광장과 고작 700m, 류경호텔과도 고작 2km 떨어진 말하자면 서울의 광화문 광장 같은 곳입니다.<br><br>게다가 이 건물,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집무실이 있는 곳이거든요, <br><br>당연히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Q4. 그런데 북한도 2년 전에 서울까지 무인기 보냈던 거 아니에요? <br><br>A. 맞습니다. <br> <br>당시 밝혀진 북한 무인기의 궤적을 보면 경복궁과 청와대 인근까지 비행을 했는데요, 만약 우리 군이 보낸 무인기라면 이때 일을 되갚아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<br><br>실제 평양주민과 접촉이 가능한 탈북민단체 대표에게 저희가 물어봤는데요, 전단지를 직접 본 평양 시민들이 “여기까지 날아오는 동안 반항공사령부는 뭘 하고 있냐”는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.<br><br>Q5. 그렇군요, 그런데 그 무인기가 뿌렸다는 전단지는 어떤 내용이었나요? <br><br>A. 북한이 전단지를 희미하게 처리해서 공개했기 때문에, 그 내용을 자세하게 알 수는 없는데요, <br> <br>다만 그럼에도 식별가능한 글자들은 있었습니다. <br><br>자세히 보면 "연소득으로 구매 가능한 식량 비교" "지옥으로 떨어지고 있는 북조선의 경제상황" "무언가에 여념 없는 김정은" 같은 글들이 보입니다.<br> <br>남한의 경제력이 앞서는 상황을 강조하고 김정은 정권을 비판하는 내용인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아는기자, 김성규 외교안보국제부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